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고향사랑기부제(세액공제, 답례품) 총 정리

by 도도정보 2025. 2. 18.

10만 원을 내면 13만 원으로 돌려준다는 고향사랑기부제 정책을 들어보셨나요? 오늘은 이 정책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고향사랑기부제 정책은 일본에서 시행하는 정책을 모방한 것이라고 하는데요. 우리나라도 2023년 1월 1일 도입 이후 지금까지 많은 분들이 관심을 보이고 있죠. 특히 세금 혜택과 다양한 답례품으로 일석이조의 효과를 누릴 수 있다는 점이 매력적입니다.

 

1. 고향사랑기부제?

고향사랑기부제는 거주지가 아닌 다른 지방자치단체에 기부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지자체가 기부금을 모아서 주민 복리에 사용하는 제도를 뜻 합니다.

 

 

 

지방재정을 확충하고 지역특산품 등을 답례품으로 제공하여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또 기부자는 고향을 돕는 자부심과 세액공제, 답례품 혜택을 동시에 받을 수 있습니다.

 

2. 세금 혜택

1. 세액공제 혜택

10만원까지는 전액, 10만 원 초과 금액은 16.5%로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기부액 세액공제 + 답례품 기부자 총 혜택
1만원 10,000원 + 3,000p 13,000원
10만원 100,000원 + 30,000p 130,000원
50만원 166,000원 + 150,000p 316,000원
100만원 248,500원 + 300,000p 5,485,000원
500만원 908,500원 + 1500,000p 24,085,000원

2. 답례품

위에 표에서 나와 있듯이 기부금의 30%를 포인트로 돌려줘서 내가 기부한 지역의 특상품을 구매하거나 관광서비스를 포인트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기부 방법

< 온라인 기부 >

① 공식 웹사이트 접속(고향사랑e음)

고향사랑e음 바로가기

 

② 회원가입 및 로그인

본인인증 완료 후에 간편 로그인

(공동인증서 또는 SNS계정)으로 접속 

 

③ 기부 지역 선택

 

④ 기부 금액 입력

기부 금액은 연간 최대 2000만 원까지 가능

 

⑤ 결제(카드, 계좌이체 등)

 

⑥ 답례품 선택

기부 완료 후 제공되는 답례품 중에서 상품을 선택

 

 

< 오프라인 기부 >

① 가까운 농협 방문

농협 지점을 방문하여 고향사살기부제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② 기부 작성서 작성

비치된 작성서를 작성하고 본인인증 절차를 진행

 

③ 기부 금액 납부

신청서에 기재한 금액 납부

 

④ 답례품 선택

현장에서 답례품 목록 확인하고 선택

 

 

답례품 선택

각 지자체마다 특색 있는 답례품이 있으니 홈페이지를 잘 둘러보고 선택하시는 게 좋습니다. 되도록이면 기부 전에 미리 답례품 몰을 둘러보시고 원하는 품목이 있는 지자체에 기부하는 것이 좋겠죠?

 

 

< 제철 농산물 >

그 지역의 신선한 농산물을 정기적으로 받을 수 있어요.

 

< 특산품 >

지역의 대표 특산품과 가공식품을 골라 받을 수 있어요.

 

<관광 상품권 >

해당 지역의 숙박, 관광지 이용권도 있답니다.

 

활용 tip

 

 답례품 배송 시기를 분산해서 신청하면 일 년 내내 다양한 제철 상품을 받을 수 있어요.

 

지역별 특산품 달력을 참고해서 기부 시기를 선택하세요.

 

가족들과 함께 의논해서 여러 지역에 분산 기부하면 다양한 답례품을 경험할 수 있어요.

 

 

이렇게 고향사랑기부제를 잘 활용하면 지역 경제도 돕고, 세금 혜택과 답례품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연말정산 시즌이 다가오는 지금, 서둘러 신청하시면 좋겠죠? 주변 분들에게도 이 좋은 제도를 알려주세요!